소개 |
도움말 |
개인정보처리방침 |
한국학전자도서관

검색 특수문자입력기



















HOME > 고도서
G002+AKS-AA25_20308_018_0015
상세검색상세서지이미지책구조보기기사구조보기
   
▶ 서명 : 한고관외사 (寒臯觀外史v18)


(明宗大王二十二年隆慶[주:皇帝元年])八月


八月明宗之喪當以十月葬而日官以爲不吉大
臣與曰官㝎議以九月卜葬乃第四月也生員李 愈上疏譏其渴葬王大妃下教曰凡吉㐫在於天命曰
官之言何足取信㝎于十月可也大臣以為難大妃
乃命於十月十五日下玄宮曰雖不吉亦可用也領
議政李浚慶左議政李 蓂啓曰葬日不擇吉㐫雖是
盛意但安厝先靈而用㐫日則恐在天之靈亦未安
也大妃乃從其請[주:愈平昌人靖國功臣平川君敝之孫蔭工參]
謹按諸侯五月而葬先王之㝎制也古者未聞擇
月也慈殿明燭正理而大臣将不能㥧其美反以

▼원문보기18a  처음으로
左說為重大臣之無見如此時事可知己
禮曹判書李 滉觧官䢜郷滉累辞以病乃許遽職明
日滉不辞朝而䢜議者或以山陵曰迫不會葬而徑
䢜為非矣盖滉學問精詳人以大儒目之望其輔幼
主致太平而滉自謂無經濟才故難進易退如此
吏曹佐郞李 珥患銓曺政事不用公道乃謁判書朴 永俊曰方今之獘守令侵漁邦本憔悴欲擇守令莫
如擇初入仕者初入仕者皆以干請而得故仕路無
由得淸邦本無由得寧今値新政之日正是機會請
自今務張公道以革宿獘永俊靣諾之及為政乃囙

▼원문보기18b  처음으로
循舊習不用公道珥嘆曰痼疾誠不可醫也[주:永俊彦而
靈人官二相]

以白仁傑為弘文館直提學仁傑久廢復用猶慷慨
論議不以老自沮人倚為重
[주:原本頭注前皆以月數别行隔圈之例始此]
[주:今此謄本非但月數逐叚别行非改原本凡例此外史原不隔圈故也]
九月沈通源有罪削奪官爵放䢜田里通源沈連源之弟於王大妃為從祖季父少時累擧不中甚不得
意金安老當國通源對䇿于大庭指安老爲忠讜
遂擢魁科中庙甚不韙之故未得顯官及明宗
卽位以姻戚發身驟歷淸要遂陞台府為人庸懦無
廉隅處事含糊而貪黷無厭賄賂輻輳門如市肆其

▼원문보기19a  처음으로
長子鐳及季子鏵爭以射利爲事奪人臧獲財產無
異盗賊僮僕效之亦為民害李 樑縱恣實與通源
勢相倚樑旣敗公論欲發畏其盤根未敢也尹元衡之敗通源自知不為士類所容遂辭相位欝欝不得
通源雖非可畏之人而士林恐有姦人陰主通源
而得肆其術故甚以為憂至是公論乃發三司同擧
以至三公卛百官立庭請竄逾月乃命削爵放䢜[주:連源
字孟容号保庵靑松人國舅鋼之父官領相謚忠 惠配享明宗庙庭鐳武左尹鏵進士子彦明]

癸酉葬明宗恭憲大王于康陵大臣以上幼冲請
勿會葬故事自上未得會葬則立主奠時例以三公

▼원문보기19b  처음으로
為獻官是時大臣不考古例不肯為獻官以秩髙宗
親代之其忽於禮如此
謹按立主大事也自上不會葬則三公為獻官者
重其事也是何難行之禮而三公莫之行邪嗚呼
山陵石物儀仗必侈於前禮文喪制必殺於古如
水益下不知終何如也



기사메타
인명: 이준경(李浚慶)[1499~1572]명종의 장례일을 일관의 뜻대로 하자고 청함UCI 연결
이명(李蓂)[1496~1572]명종의 장례를 일관의 뜻대로 따르자고 청함UCI 연결
이황(李滉)[1501~1570]벼슬을 그만두고 귀향함UCI 연결
이이(李珥)[1536~1584]이조(吏曹))에서 사람을 쓰는 것이 공평하지 않음을 근심하여 판서 박영준(朴永俊)에게 시정을 요구함UCI 연결
박영준(朴永俊)[1510~]이이의 건의를 받아들일 것처럼 하였지만 받아들이지 않음UCI 연결
백인걸(白仁傑)[1497~1579]홍문관 직제학(直提學)이 됨UCI 연결
심통원(沈通源)[1499~]죄로 관작을 삭탈당하고 시골로 쫒겨남UCI 연결
명종(조선)[1534~1567]장사함UCI 연결
지명: [행정구역]평창(平昌)[평창군](平昌郡)
[행정구역]청송(青松)[청송군](靑松郡)
용어: [제도및관직]좌의정(左議政):조선시대 최고 국정기관인 의정부의 정1품 관직UCI 연결
[제도및관직]공조참판(工曹參判):조선시대 공조(工曹)에 속해 있던 종2품의 관직
[제도및관직]예조(禮曹):조선시대 육조(六曹)의 하나로, 예악ㆍ제사ㆍ연향ㆍ조빙ㆍ학교ㆍ과거 등을 관장하였던 중앙기관UCI 연결
[제도및관직]이조(吏曹):고려ㆍ조선시대 종친ㆍ문관 등의 인사행정과 봉작(封爵)을 담당하던 국가 기관UCI 연결
[제도및관직]홍문관(弘文館):조선시대 경서(經書)와 사적(史籍)의 관리와 각종 문서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던 국가 기관UCI 연결
[제도및관직]직제학(直提學):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에 딸린 정3품 당하관
[제도및관직]영의정(領議政):조선시대 의정부(議政府)의 최고 중앙 관직으로 정일품(正一品)이며, 정원은 1명임UCI 연결
[제도및관직]헌관(獻官):조선시대에 나라에서 제사를 지낼 때 임시로 임명하여 보내는 제관(祭官)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