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
도움말 |
개인정보처리방침 |
한국학전자도서관

검색 특수문자입력기



















HOME > 고도서
G002+AKS-AA25_20308_018_0014
상세검색상세서지이미지책구조보기기사구조보기
   
▶ 서명 : 한고관외사 (寒臯觀外史v18)


(明宗大王二十二年隆慶[주:皇帝元年])七月


七月丙辰今上卽位于勤政門是日成服上當卽位

▼원문보기15a  처음으로
牢讓不出喪次大臣懇請王妃亦堅請乃出次御勤
政門猶不敢上御座大臣及政院啓以宗社大計不
容私意良久乃㘴受百官賀尊王妃為王大妃大赦
王大妃垂簾同聽政上旣卽位動遵禮法前王時內
班長番䆠官甚多上命减其半常閉戶黙坐不與䆠
寺接言朝野想望聖德之成就焉上之乳母乘有屋
轎入闕見上有所千白上不悅聞其乘轎乃叱曰汝
豈可遽乘有屋轎邪命黜之乳母步還其家
庚午詔使翰林院檢討許國給事中魏時亮入城國
䒭以頒新皇帝登極詔事東来至安州聞大行王之

▼원문보기15b  처음으로
訃疑國中有變問譯官曰前王有嗣子否曰無矣又
問首相為誰曰李浚慶也曰國人以為賢而信之乎
曰賢相也國人信之两使曰然則無虞矣上以權知
國事文衮冕七章之服迎詔于郊外接待無違度兩
使目不蹔輟歎曰這䒭玅年動中禮節得此賢君
東國之福也時上春秋十六矣明日两使以素服吊喪
又明日謁文庙囙㘴明倫堂儒生二千餘人拜于庭
兩使起立荅揖甚肅謂館官曰益見東方禮義之盛
癸酉詔使發程出亰城百官祗送列立道左兩使下
車肅揖乘轎貌甚㳟恪不寧也两使皆有清德許能

▼원문보기16a  처음으로
文章矣
上大行王廟號曰明宗明宗平日常曰得謚為■
足矣至是適用明字王大妃泣諭羣臣以平日之言
[주:接謚法照臨四方曰明]
以白仁傑為弘文館副校理仁傑尙氣㮣喜敢言乙
巳秋羣奸將托密旨以害士林仁傑時献納為獨啓
言密旨之非正言柳希春見其為吐舌曰壯㢤於是
下獄罪将不測適有救之者免死被謫明宗末年
復其職累遷楊州牧使至是入玉堂[주:仁傑字士偉號休庵隋城人官
三宰謚忠肅希春字仁仲號眉岩善山人官副學謚文節]


▼원문보기16b  처음으로
以李 滉為禮曹判書滉守道山樊人望日重明
宗累召不至末年召滉使接待華使滉乃至未及
拜命明宗昇遐滉因在朝撰明宗行狀及拜宗伯乃
辭以疾上曰聞卿賢德久矣如此新政之時卿若不仕
豈安於心乎宜勿辞滉終無供職之意李 珥謁滉曰
㓜主初立時事多艱揆之分義先生不可退去滉曰
道理雖不可退以吾觀之不可不退身旣多病才亦
無能為也時成渾拜參奉而不來座客有言成渾何
以不来珥曰成渾多病不堪從䆠若彊之仕則是若
之也滉笑曰叔献何其待成渾厚而待我薄邪珥曰

▼원문보기17a  처음으로
不然成渾之仕若如先生則一身私計不足恤也使
渾趨蹌末官何補於國若先生在經席之上則為益
甚大仕者為人豈為己乎滉曰仕者為人固然若利
不及人而患切於身則不可為也珥曰先生在朝假
使無所猷為而上心倚重人情悗頼此亦利及於人
也滉不胷[주:原注叔献珥字珥字叔献號栗谷德水人官二相謚文成從祀文庙○渾字浩源
號半溪昌寧人官四宰謚文簡從祀文庙]

謹按大臣以道事君不可則止李 滉以先朝遺老
旣復立朝則當輔佐新王知其不可然後乃退而
懇辞不已其易所謂量能度分安於不求知者歟



기사메타
인명: 허국(許國)중국사신으로, 새 황제의 등극을 반포하는 일로 서울에 들어옴
백인걸(白仁傑)[1497~1579]홍문관 부교리가 됨UCI 연결
이황(李滉)[1501~1570]예조판서가 됨UCI 연결
지명: [행정구역]안주(安州)[안주군](安州郡)
[행정구역]양주(楊州)[양주시](楊州市)
[행정구역]수성(隋城)[수원시](水原市)
[행정구역]선산(善山)[구미시](龜尾市)
[행정구역]덕수(德水)[개풍군](開豊郡)
[행정구역]창녕(昌寧)[창녕군](昌寧郡)
용어: [제도및관직]홍문관(弘文館):조선시대 경서(經書)와 사적(史籍)의 관리와 각종 문서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던 국가 기관UCI 연결
[제도및관직]부교리(副校理):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에 딸린 종5품의 관직
[제도및관직]옥당(玉堂):홍문관(弘文館)의 별칭으로, 조선시대 경서(經書)와 사적(史籍)의 관리와 각종 문서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던 국가 기관을 말함UCI 연결
[제도및관직]예조(禮曹):조선시대 육조(六曹)의 하나로, 예악ㆍ제사ㆍ연향ㆍ조빙ㆍ학교ㆍ과거 등을 관장하였던 중앙기관UCI 연결
[제도및관직]참봉(參奉):조선시대 문관(文官) 종구품(從九品) 최말단 관직
시점: 선조즉위[명종 22년 7월 병진()~1567-07()]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