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
도움말
|
개인정보처리방침
|
한국학전자도서관
■ 서지전체
○ 서명
○ 기사명
○ 저/편/필자
──────
■ 본문텍스트
■ 해제텍스트
검색유형
기본
확장
동의어
검색
특수문자입력기
HOME
고도서
원문이미지
본문텍스트
해제
고문서
문중고문서
왕실고문서
사진ㆍ회화
의궤도설자료
보소당인존 인장
음성자료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방언자료집
한국민요대관
사전ㆍ공구자료
한문용어용례
한자자형전거
지명
연대기
생활야사
척독류
민간요법
열린마당
도움말
공지사항
형태별
제목별
장르별
제목별
의궤자료
HOME
>
고도서
G002+AKS-AA25_20097_037_0008
상세검색
상세서지
이미지
책구조보기
기사구조보기
▶ 서명 : 조야회통 (됴야회통v37)
계 삼십구년(癸巳 三十九年)
이라샹이 즉위오신 지 십년에 고묘칭경고 진하반샤다 이픔 이샹이 빈텽에 모다 계되뎐하의 셩덕홍공을 다 드옵지 못오려니와[대두1]단종(端宗)복위심과곤샹이 다시 위 졍심과신종(神宗)의 은덕을 츄보시고효묘(孝廟)의 유지를 앙톄샤 단향을 오신 대의 텬하에 들넘즉오니션묘(宣廟)고를
▼원문보기
11a
처음으로
쥰여지이다 여 관을 다리고 졍쳥며왕셰와 냥 왕 셔로 니어 샹소시니 부득이 허샤 존호현타 현의올흘 의광빗광륜오륜 륜예어질 예셩셩인 셩영영즁 영녈(顯義光倫睿聖英烈)
[주:공녈 녈]
이라 다
[주:존호를 병판됴태(趙泰采)몬저 창셜여 쳥하고 령샹니유(李濡)니어 아뢰되김진규(金鎭圭)와니만셩(李晩成)등은 다 달니니 존호려 쟈 대당 낙당이라 고 달니 쟈 화당이라 니여 각기 사 곳으로 일흠여 바야흐로 홈이 비롯더니신(辛)임(壬)대변을 만나 합여 나라 일에 죽으니 긋됴샹위(趙相愚)샹소여 의논니라]
○샹이 하교샤 왈례긔ː증문(禮記ː曾子問)
[주:증문(曾子問)은례긔(禮記)편명이라]
에 님군이 훙다 아 길례를 말홈이 적을오례의(五禮儀)예 고법을 참호나 미진홈이 잇스니 번 니졍코저 지 오지라 아지 못게라 고례를 회복호미 가냐 이 례를
▼원문보기
11b
처음으로
인용호미 가냐 례관이 픔쳐라갑오년(甲午年)에 령부윤지완(尹趾完)이 의논되 군신 복졔쥬(朱子)의 소론오미 잇사와인묘(仁廟)대샹에김집(金集)이 일노 차를 나왓더니 의논 쟤 힐난니 만하 드여 그치고긔년(己亥年)에 각과 관이 쳥되니경셕(李景奭)등이 편치 아니타 여 치 못엿오니 고금이 다름으로 그러오잇가 대헌권샹하(權尙夏)의논여 왈의례(儀禮) ː 참최장(斬衰章)경에 로되
[주:이쥬공(周公)의 지으신 례문이라]
군이라 여 젼에 로되 군은 지극히 놉흐니라 고 긔예 로되 방샹 삼년라 엿거 소에 로되 방 견졸 방니 아븨 샹례를 견조아 님군 샹례를 라 홈이요쥬(朱子)의 군신 복졔
▼원문보기
12a
처음으로
의논온 데 로되 참최 삼년은 아비와 님군을 위여 니 그 복은 포관과 포삼과 최와 벽령과 부판과 엄임과 포츤삼과 포샹과 삼으로 온 요질 슈질과 마와 관구와 쥭쟝이니 텬로부터 셔인지 귀쳔으로 가감호미 업다 온지라 대 식과 신해 아비와 님군에 그 샹례 흐믄 만셰 통 법이니쥬공(周公)이 젼에 베푸신고쥬(朱子)후에 의논와 으미 교연여 가히 의심홈이 업슬 거시여 국됴 님군을 위여 거샹 닙 례 샹복도 아니요 공복도 아니요 로 얽고 조희로 모양을 니루지 못지라긔년(己亥年)대샹에 신의 스승문졍공(文正公)송시렬(宋時烈)이쥬(朱子)의 말삼로 오믈 쳥여 군신이
▼원문보기
12b
처음으로
최복을 려 엿더니 긋 대신에 힘써 막 쟤 잇셔 치 못오니 신의 스승이 크게 탄온지라 이제셩샹이 그른 례졀을 인습 개연샤 고례를 고저 시니 원컨셩상은 결단여 소셔[대두1]샹이 하교 왈 이 일은쥬(朱子)의 졍논이 잇스니 단연이 호미 가타 샤 례관으로 거라 시다
기사메타
권샹하權尙夏김진규金鎭圭김집金集니경셕李景奭니만셩李晩成니유李濡단종端宗됴샹위趙相愚됴태趙泰采문졍공文正公션묘宣廟송시렬宋時烈신종神宗윤지완尹趾完인묘仁廟쥬공周公쥬朱子쥬朱子현타현의올흘의광빗광륜오륜륜예어질예셩셩인셩영영즁영녈顯義光倫睿聖英烈효묘孝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