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
도움말
|
개인정보처리방침
|
한국학전자도서관
■ 서지전체
○ 서명
○ 기사명
○ 저/편/필자
──────
■ 본문텍스트
■ 해제텍스트
검색유형
기본
확장
동의어
검색
특수문자입력기
HOME
고도서
원문이미지
본문텍스트
해제
고문서
문중고문서
왕실고문서
사진ㆍ회화
의궤도설자료
보소당인존 인장
음성자료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방언자료집
한국민요대관
사전ㆍ공구자료
한문용어용례
한자자형전거
지명
연대기
생활야사
척독류
민간요법
열린마당
도움말
공지사항
형태별
제목별
장르별
제목별
의궤자료
HOME
>
고도서
G002+AKS-AA25_B3B^41_023_0014
상세검색
상세서지
이미지
책구조보기
기사구조보기
▶ 서명 : 대사편년 (大事編年v23)
世子嬪服制
戊戌四十四年二月世子嬪沈氏喪逝○禮曹啓曰大殿
中殿服準家禮及大殿五服圖嫡婦大功世宗朝 顯德王 后 喪兩殿服世子服制古禮及國制皆爲不杖期今則何
以爲之傳曰啓辭得宜幷依爲之自上公除自成服日計
九日而除
禮曹佐郞成震齡上疏論喪制易月之非以公除爲視事
之限而服制則除於當盡之月命議大臣稟處
判中樞徐宗泰以爲中古易月之制深矣先王禮典循襲
▼원문보기
12b
처음으로
已久我聖朝喪制卓越千古穆廟以後於通喪定制古禮
一洗繆紕朞服以下有未盡更者公除之節以視朝爲限
而已則於此除衰尤恐爲禮乖情觖之歸今日期功之服
雖在公除之後俟服盡之月而乃除實爲古今之美云云
領議政金昌集以爲國朝通喪之禮實是漢唐以來所未
有而獨於朞功猶存易月之制者誠似欠闕而傳襲已久
便成國制則遵而行之亦可爲從先祖之義而揆諸先王
制作之本意終非禮之至者如欲一變至道盡革乖繆但
以公除爲視事之限而服除於當盡之月是在殿下孰敢
有異至於王世子服色亦當從而稍重云云
判中樞李頤命以爲天子諸侯絶旁朞所不絶無多而短
喪以來有未盡制爲親之道無可伸矣今者郞署小臣執
▼원문보기
13a
처음으로
藝而論喪慨然有復古之意臣則贊成之外無容別議云
云
傳曰我朝通喪定行古禮一洗紕繆獨於朞功之服易月
之制猶存誠爲欠闕今者成震齡以微末郞官輒附執藝
之義疏論喪禮意在復古其言極是實合予意今夫定禮
宜從此喪始儀曹知委擧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