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
도움말
|
개인정보처리방침
|
한국학전자도서관
■ 서지전체
○ 서명
○ 기사명
○ 저/편/필자
──────
■ 본문텍스트
■ 해제텍스트
검색유형
기본
확장
동의어
검색
특수문자입력기
HOME
고도서
원문이미지
본문텍스트
해제
고문서
문중고문서
왕실고문서
사진ㆍ회화
의궤도설자료
보소당인존 인장
음성자료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방언자료집
한국민요대관
사전ㆍ공구자료
한문용어용례
한자자형전거
지명
연대기
생활야사
척독류
민간요법
열린마당
도움말
공지사항
형태별
제목별
장르별
제목별
의궤자료
HOME
>
고도서
G002+AKS-AA25_20311_001_0075
상세검색
상세서지
이미지
책구조보기
기사구조보기
▶ 서명 : 현구설 (玄駒說v1)
五月初八日儒臣坮臣請對入侍諸臣以近日事陳戒金鐘正曰
五月初八日儒臣坮臣請對入侍諸臣以近日事陳戒金鐘正曰自古微行漢唐中主猶不
爲必皆亡國之君爲之而至於在儲位而爲此擧者是史牒之所未有云云令曰予
不善爲噬臍莫及矣鍾正以天命人心去就向背之幾縷縷陳戒又引秦穆唐宗之
事請下罪已之令令曰予非吝此而有所執只以言辭爲之而無其實則又歸文具予
當以實心改之矣鐘正語次以爲尙有遮護之意云云笑而答曰予非遮護之人
物矣鐘正又以爲賢士大夫日遠日疎左右近習日近日親又有無識無賴之輩慫
惥者若有如此之輩宜加斥遠矣令曰余非被其慫惥者也而言則是矣當
各別銘心焉鐘正又曰人君之政不過發號施令此或一移則國必亡矣邸下
只耽目前遊幸欲爲彌縫故其間政令或付之此輩而獨不爲深遠之慮此路一開
▼원문보기
21b
처음으로
將何以防其弊乎漢之十常侍唐甘露之變皇朝劉瑾王振之事皆由於此此
豈可不深慮而嚴處乎令曰果然念不及此而追後思之則誠如所言矣正言
李鎭衡請出付有司明正典刑令曰坮體固如是矣而皆有爵秩事多狗碍余非惜
之而不爲也鍾正曰邸下至此者莫非臣等不言之罪万死難贖而頃曰諸宰入對乃是過
擧後一初而十三備堂默默無一言而退其可謂國有人乎令曰頃日備堂亦非全然無語
多有體念之言而所陳則是矣鍾正曰三道守臣四都居留之臣不能效古人抽刀斷引之
事而置之知與不知之間糢糊承奉苟且彌縫分義都虧臣竊痛之令曰西行時予不
謂我而去此豈道臣之咎耶坮臣又以閭里譊譊之說仰陳且曰聞有西路銀貨取來之說
信乎令曰果有之而予非愛惜貨財者也只爲沿路用於發施而旣有此事所聞無
怪矣又以閭里無賴憑藉作弊之事仰達令曰此固無怪甚可憂也將何以禁之諸
▼원문보기
22a
처음으로
臣曰此皆邸下苟赫然改之使中外曉然明知則自無此弊矣又以弓馬馳騁常着
微行等事歷陳而皆無掩遮之敎諸臣人以進見一事反覆陳戒以終之其大
槪若此中間上下酬酌多不能盡記而其中下令有曰此後出闕門一步地則非悔悟
之意又曰漢武秦穆唐宗皆是慵主予非自矜改過不吝亦豈難乎此等事改之
之易易於拔毛又曰諸臣入對而言之則誠是矣爲書而上之則其心如何乎鐘正曰形
諸文序終有難便故臣等今適入對而自言者論之勿論書與對眷眷忠愛之心一也
令曰其言則是而其事則有異予所慨然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