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
도움말
|
개인정보처리방침
|
한국학전자도서관
■ 서지전체
○ 서명
○ 기사명
○ 저/편/필자
──────
■ 본문텍스트
■ 해제텍스트
검색유형
기본
확장
동의어
검색
특수문자입력기
HOME
고도서
원문이미지
본문텍스트
해제
고문서
문중고문서
왕실고문서
사진ㆍ회화
의궤도설자료
보소당인존 인장
음성자료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방언자료집
한국민요대관
사전ㆍ공구자료
한문용어용례
한자자형전거
지명
연대기
생활야사
척독류
민간요법
열린마당
도움말
공지사항
형태별
제목별
장르별
제목별
의궤자료
HOME
>
고도서
G002+AKS-AA25_20311_001_0046
상세검색
상세서지
이미지
책구조보기
기사구조보기
▶ 서명 : 현구설 (玄駒說v1)
世子嘗從容與宮僚語因曰
世子嘗從容與宮僚語因曰吾幼時性頗緩大朝亦以爲言矣近來怒
更急何由藥之春坊某對曰切須忍之世子曰聞如此之言心甚悶鬱矣
方怒之發也或不辨某物之爲某物何由而施忍也顧語桂坊其言之侍直
韓謇曰忍之誠難然人主之怒異於匹庶所傷必多雖當怒時須存慈愛
之心爲好矣世子嘗患鬱火多在靜攝之中禧魯諸賊陰挾首醫金某託
以陰虛氣升輒用桂附等熟劑六七年間凡用幾斤氣不降而火益熾
▼원문보기
12b
처음으로
竟至莫可奈何之境凶逆用計之憯毒至於如此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