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
도움말
|
개인정보처리방침
|
한국학전자도서관
■ 서지전체
○ 서명
○ 기사명
○ 저/편/필자
──────
■ 본문텍스트
■ 해제텍스트
검색유형
기본
확장
동의어
검색
특수문자입력기
HOME
고도서
원문이미지
본문텍스트
해제
고문서
문중고문서
왕실고문서
사진ㆍ회화
의궤도설자료
보소당인존 인장
음성자료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방언자료집
한국민요대관
사전ㆍ공구자료
한문용어용례
한자자형전거
지명
연대기
생활야사
척독류
민간요법
열린마당
도움말
공지사항
형태별
제목별
장르별
제목별
의궤자료
HOME
>
고도서
G002+AKS-AA25_20311_001_0022
상세검색
상세서지
이미지
책구조보기
기사구조보기
▶ 서명 : 현구설 (玄駒說v1)
和順翁主喪
和順翁主喪出上間日臨哭哭必盡哀宮中莫敢挽回一日
鄭致達
妻隨
後往挽曰和順在此殿下何爲此過哀耶上卽止哭而視之乃鄭妻也
因㩗手而歸大加奇愛鄭妻自四五歲嬌慧異常稍長善窺
上意先意承之故上之寵愛日加自歸
致達
始干國政將相多出其
手生死判於一言闕內之權一歸於鄭妻雖以仁元貞聖兩殿亦不得
▼원문보기
5b
처음으로
操節而小朝嚴加戒飭使不得恣其意其克忌之心已兆於此而上有
兩殿竭心保護故猶不售其計也上常留
致達
於宮中每出送於東宮使之
陪遊
致達
年幼不識君臣禮數多惰容慢辭而小朝初不檢飭及至十
四五歲而傲習猶前小朝命鎻自內出入之門鄭妻狼毒倍加乃與文
女合力䜛構万端及至丁丑國恤兩女益無所憚樂善堂火後文女至謂
東宮所爲於是不忍聞之敎逐日屢下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