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지 * 1493년(성종 24)성현(成俔) 등이 의궤(儀軌)와 악보를 정리하여 편찬한 악서(樂書). 제향·조회·연향의 음악 연주에 필요한 모든 사항들을 수록. 9권 3책. 목판본. 수연장초입배열도 본문 * 한국 음악의 악조(樂調)를 설명한 악조총의(樂調總義). * * * * 연화대초입배열도 본문 * 제향에 쓰이는 아악의 악보와 악장(樂章)을 게재. 학연화대처용무합설 본문 * (동동)은 연중나례(年中儺禮) 뒤에 아박무(牙拍舞)라 하여 노래에 수반하는 독특한 무용이 있었다. 편종 본문 * 성현은 음악이 따르는 궁중의 전례(典禮)에 실제로 참여하여 음악에 정통했으므로, 이 책을 편찬함에 있어 중심적인 구실. 삭고 본문 * 실제 악기제작에 참고가 되게 하려는 의도가 담겼다. 영도 본문2 * * 영도 본문2 * 편찬자들 중에서도 성현은 장악원의 제조(提調) 담당자. 본문2 * 예조판서 성현(成俔)을 비롯 무령군(武靈君) 유자광(柳子光)·신말평(申末平)·박곤(朴棍)·김복근(金福根) 등이 엮은 악규집. 본문1 * 조선시대 음악의 유일한 지침이 된 악전(樂典). 본문 * 세종 때 등가(登歌)와 헌가(軒架)의 율을 시정하는 데 그 근거를 제공한 율려격팔상생응기도설(律呂隔八相生應氣圖說) 설명. 본문 * (율려신서)를 인용했으나 실제의 음악과는 관계되지 않은 양률음려재위도설(陽律陰呂在位圖說) 설명. 본문 * 권6의 아부악기도설(雅部樂器圖說)은 먼저 악기의 전체 모양을 그림으로 보여주고 있다. 장고 본문 * 먼저 악기의 전체 모양을 그림으로 보이고, 그 그림에다 악기의 치수를 일일이 적고, 그 재료를 설명. 아쟁 본문 * 1933년에는 고전간행회(古典刊行會)에서 이 책을 영인(影印), 간행. 최자조 본문1 * (악학궤범)의 내용은 12율의 결정(決定)과 여러 제향에 쓰이는 악조(樂調)에서부터 악기의 진설(陳設), 정재춤의 진퇴(進退), 악기·의물(儀物)·관복(冠服)에 이르기까지, 제향·조회·연향의 음악 연주에 필요한 사항들을 빠짐 없이 망라. 최자조 본문2 * 특히 성종 당시의 아악·당악·향악 등 음악 전반을 포함. 선도반 본문 * 여기에다 치수를 기입하고 그에 쓰이는 재료를 적어서, 실제 그 제작을 가능하게 설명. 족자 본문 * 향악정재악기도설(鄕樂呈才樂器圖說)은 아박(牙拍)·향발(響墩)·무고(舞鼓)·후도처용무(後度處容舞)에서 춤추는 사람이 쓰는 악기를 그림으로 그리고 여기에다 치수를 기입, 설명한 것. 본문 * 권8에 당악정재의물도설(唐樂呈才儀物圖說)·연화대복식도설(蓮花臺服飾圖說)·정대업정재의물도설(定大業呈才儀物圖說)·향악정재악기도설(鄕樂呈才樂器圖說) 및 둑제소용(纛祭所用)의 궁시·검·창에 대한 설명. 지당판 본문 * 우리 나라에서의 최고본은 1610년의 태백산본(太白山本). 사모 본문 * 내용이 치밀하고 정확하게 기술. * 본문 * 음악의 유실을 방지하려는 찬정(撰定:詩文을 지어서 골라 정함)의 목적을 달성. 천의 본문 * 성종 당시의 음악을 기준으로, 그 전후의 음악을 비교,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 길경 본문 * 그 치수를 적어 그 책을 보고 관복을 지을 수 있게 설명. 본문 * 연향에 쓰이는 당악(唐樂)의 28조를 악서에서 인용하여 5음 12율로 설명한 오음율려28조도설(五音律呂二十八調圖說). 본문 * 권9에 관복도설(冠服圖說)·무동관복도설(舞童冠服圖說)과 둑복(纛服) 및 여기복식도설(女妓服飾圖說)을 수록. 한삼 본문 * 권1에 악리(樂理)와 용법을 다루어 육십조(六十調) 등을 설명. 본문 * (국역악학궤범) 1권에는 권1부터 권4까지를, 2권에서는 권5부터 권9까지를 각각 주석을 달아 설명. * 본문1 * 그 그림에다 악기의 치수를 일일이 적고, 그 재료를 설명. * 본문2 * 60조 중 12궁조만이 실제 사용. 노도 본문 * 아악(雅樂)에 사용되는 북 가운데 하나. 제사 때 헌가(軒架)에 편성되는데 헌가의 음악이 시작되기 전에 이 노도를 세 번 흔든 다음, 축(祝)과 진고(晉鼓)를 세 번 치고 나면 음악이 시작된다. 사진은 (악학궤범) 권6 노도조. 뇌도 본문 * 아악(雅樂)에 사용되는 북의 하나. 뇌고(雷鼓)와 함께 풍운뇌우제(風雲雷雨祭)·산천서낭제〔山川城隍祭〕 등의 제례의식에서 헌가(軒架)에 편성되는 악기로, 음악을 시작하기 전에 세 번 흔든다. 사진은 악학궤범 권6에 나오는 뇌도. * 본문1 * 실제 우리 나라에서 4청성(四淸聲)만을 사용하여 12궁을 그린 시용아악12율7성도(時用雅樂十二律七聲圖) 설명. * 표지 * 이익(李瀷)의 말과 같이, ‘동동’은 북소리를 모방한 ‘둥둥’일 것. * 본문3 * 팔음도설(八音圖說)은 여덟 가지 재료로 만들어진 악기를 설명. * * * * * 표지 * * * 본문1 * 권4에서는 성종조의 당악정재도의(唐樂呈才圖儀)를 소상하게 설명. * 본문2 * 권3에 없는 박(拍)을 추가하여 그 박으로 춤사위의 변화를 일일이 알려준다. * 본문3 * 장악원(掌樂院)에 소장된 의궤(儀軌)와 악보(樂譜)가 파손·소략(疏略)되고, 세종(世宗) 이후의 성악유법(聲樂遺法)이 결폐(缺廢)되는 감이 있으므로, 이 책을 지어 임금께 바친다고 했다. * 본문4 * 단순한 정재홀기(呈才笏記)에 그치지 않고 전래의 당악정재를 완전히 보존하려는 의도를 엿보게 한다. 무기들 본문 * * * 표지 * 임진왜란으로 전에 있던 악기와 악제가 모두 불타버렸으나 이 책만은 되찾아 1610년(광해군 2)에 복간. 수보록 표지 * 세종 때 쓰인 강신악조를 (주례)와 (송사(宋史))의 그것들과 비교, 설명한 삼대사강신악조(三大祀降神樂調). 어제서문 본문 * 실제 성종 당시의 여러 제향과 조회·연향 때 악기를 진설하는 법을 그 전의 오례의(五禮儀)와 세종 때의 그것들과 비교하여 도설. * 본문2 * 변치(變徵)와 변궁(變宮)의 사용을 이단시하고 궁이 상(商)이나 각(角)보다 높이 되는 것을 금하는 오성도설(五聲圖說)을 설명. * 표지 * (동동)은 고려·조선시대에 조정에서 연주·가창. 동동 본문 * 향악(鄕樂) 곡명의 하나. 고려시대부터 동동무(動動舞:고려·조선시대의 궁중무)에 쓰이던 음악. 사진은 조선시대 성현(成俔:1439~1504) 등이 지은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수록된 동동 사설. 응고 본문 * 권5에서는 (동동) (정읍) (처용가) (진작(眞勺))의 노래를 보여준다. 본문 * 성종 당시의 조회·연향에 쓰이는 음악의 절차·곡목·춤이름을 세종 때의 회례연의(會禮宴儀)와 비교·기술. 시용전정헌가 본문 * 공척보(工尺譜)에 쓰이는 음명의 음 높이를 당적(唐笛) 같은 당악기 대신에 향악기인 대금(大魁)의 음으로 예시한 12율배속호(十二律配俗呼)를 설명. 정전예연여기악공배립 본문1 * 유자광(柳子光, 1439∼1512)은 장악원제조. 정전예연여기악공배립 본문2 * 신말평(申末平, 1452∼1509)은 장악원주부. 포구락초입배열도 표지 * (동동)의 곡명은 후렴의 ‘아으 동동 다리’에서 따온 듯. 포구락초입배열도 본문 * 세종 때는 거의 인멸 위기의 (육화대(六花隊)) (곡파(曲破)) 등 2가지 춤을 재연. 편경 본문 * 원래 정재(呈才)는 기예를 드리는 것[獻技]을 뜻하며, 공던지기(弄珠)·줄타기·땅재주·목마타기 등의 총칭이었으나, 이것이 차차 궁중무용의 대명사처럼 사용. 당비파 본문 * 권2에 아악진설도설(雅樂陣說圖說)·속악진설도설(俗樂陣說圖說) 수록. 향비파 본문 * (정읍사)의 형식은 6행 1연이며, 조선시대에 궁중음악으로 사용. 표지 * 춤에도 당악정재와 향악정재(鄕樂呈才)로 구분. 본문2 * 당악(唐樂)과 구분하기 위해 우리 음악을 향악(鄕樂)이라고 했다. 본문1 * 권3의 당악정재는 고려시대 송나라에서 들어온 궁중무용.